우분투의 기본적인 FTP서버는 vsftpd입니다.
# sudo apt-get install vsftpd
이렇게 명령어 입력하면 설치가 끝나구요. 이제는 몇가지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vi로 파일을 수정할건데요.
# vi /etc/vsftpd.conf
이 파일에서 보통은 주석을 제거하거나 단어만 고쳐주시면 됩니다.
listen=YES를 찾아서 그 아래에 이렇게 적어주세요.
listen_port=10022
이때 10022는 여러분 마음대로 고쳐도 상관없습니다. 이렇게 고치는 이유는 무분별하게 로그인 시도를 하는 녀석들때문입니다.
보통은 등록한 계정만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죠.
anonymous_enabled=NO
write_enabled=YES
local_unmask=022
설정을 만져주고 리스트 파일에 root디렉토리에 접근을 허용하는 계정만 등록해주면 됩니다. 먼저 아래의 내용이 활성화되도록 주석을 없애주세요.
chroot_local_user=YES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이렇게하면 vsftpd.chroot_list 파일에 상위디렉토리에 접근을 허용하는 계정을 등록하겠다는 것이죠.
# sudo vi /etc/vsftpd.chroot_list
빈 파일이겠죠. 여기에 내가 원하는 계정이름을 적어주면 됩니다.
user1
user2
user3
# sudo vi /etc/ftpusers
이 파일에서 root 계정 앞에 주석처리합니다.
여기까지하면 웹서버에 ftp서버를 설치하고 설정까지 마쳤습니다. 이제는 파일질라로 접속해야겠죠.
파일질라 프로그램을 실행
파일 – 사이트 관리자 – 새사이트 – 적당한 이름적기
그리고 일반탭에서 몇가지를 적어줘야하는데요.
프로토콜은 SFTP로 선택하고, 호스트는 웹 서버의 IP주소를 적습니다. 포트는 위에서 설정한 것으로 하시고, 위에처럼 포트번호 설정을 안했다면 비워둬도 됩니다.
로그온유형은 ‘비밀번호묻기’로 하고 사용자는 내가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적어주세요. 없다면 처음에 리눅스에 접속할 때 사용했던 아이디를 적어주면 됩니다. 저는 가비아 사용하는데 root였습니다.
이상한 점은 사용자 계정을 만들었는데 그 사용자계정으로 로그인했을때는 상위 디렉토리에서 업로드를 못한다는 것이었어요. 다만 root로 로그인했을때는 어디에서든 업로드가 가능했습니다.
여자가 남자를 조심해야하듯 남자 역시 여자를 조심해야한다. 요즘은 성형이 많은 시대라 예쁜여자, 잘생긴 남자가 엄청…
1주차에는 레이저토닝을 했었다. 수염제모 프로그램도 같이 해서 이것도 1주차에 하긴 했음. 드디어 2주차가 됐는데 이번에는…
최근에 키움증권에서 문자가 하나 왔는데요. 오픈API를 재등록하라는겁니다. 매직스플릿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매매를 했는데 그것 때문인것 같아요.…